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부가세신고혼자하기
- 홈택스세금신고
- 아마존리뷰
- 아마존PPC
- 아마존FBA꿀팁
- 아마존포스트
- 아마존컨텐츠
- 아마존도전기
- 아마존FBA수수료
- 아마존바코드면제
- 스마트스토어
- 아마존FBA사업
- 아마존재고관리
- 아마존완판
- 아마존FBA도전기
- 아마존FBA도전
- 아마존PPC광고
- 아마존상위노출
- 아마존포스팅
- 아마존노출
- 아마존초보셀러
- 아마존광고비
- 세금신고혼자하기
- 아마존무료광고
- 아마존셀러
- 아마존FBA
- 아마존광고
- 아마존랭킹
- 아마존첫판매
- 아마존셀링
- Today
- Total
목록아마존FBA살아남기 (24)
밍국
팔 제품을 선정하였으니 본격적으로 제품을 소싱해야 할 차례이다. 제품 소싱에는 가장 범용적인 [알리바바] 업체를 활용하였다. 알리바바를 처음 이용해봤지만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으로 잘 되어있어서 다행히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었다. 알리바바를 통한 제품 소싱을 단계별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알리바바 검색을 통한 제조업체 서칭 알리바바 사이트에 접속하면 수많은 제조공장을 만나볼 수 있다. [헬리움10], [머천트워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정한 아이템을 사이트 상단 검색창에 입력 후 검색해보자 검색 결과 상당히 많은 업체들을 찾아볼 수 있다. 가격, 디자인을 고려하여 거래하고픈 업체를 선정한다. 단, 업체 선정시 반드시 고려해야할 부분이 있다. 1-1. 업체가[Trade assureance] 서비스에 ..
드디어 제품 선정을 완료했다. 제품 선정의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이다보니 전부터 틈틈히 서칭 중이었고 제품 선정에 총 3주 정도 투자 했던 것 같다. 제품 선정 시에는 유튜브 자료들을 많이 참고하였는데 대부분의 유튜버들이 말하는 제품 선정 기준에는 공통점이 있었다. 그 중 내가 집중적으로 참고했던 기준들을 공유해보고자 한다. 1. 제품 대표 키워드의 아마존 월 검색량이 1만건 이상 2만건 이하인 제품으로 선정 - 검색량이 많은 제품 키워드의 경우 한 달 검색량이 30만을 훌쩍 넘는 경우도 많다. 허나 그러한 제품의 경우 이미 경쟁이 너무 치열하기 때문에 신규 진입시 제품 노출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 해서 나와 같은 초보셀러의 경우 1만건 ~ 2만건 사이의 적당한 검색량을 가진 제품으로 시작하는..
사업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가 바로 마진 계산이다. 아마존 FBA사업은 아마존이 창고 대여부터 배송까지 모든 부분을 책임지기 때문에 그만큼 수수료 또한 비싼 비즈니스이다. 해서 만약에 FBA 수수료를 제대로 알아보지 않고 물건을 소싱한다면 팔면 팔수록 손해를 보는 사업 구조가 될 수도 있다. 때문에 아마존FBA 사업에서는 수수료를 정확히 짚고 넘어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아마존FBA의 수수료 구조는 크게 하기와 같다, 하기 수수료 외에도 여러가지 수수료가 있지만 셀러들이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수수료는 하기 6개 선에서 대부분 정리 된다고 한다! 1. 고정비 : 39.99$ (매 달 지불) - 프로페셔널 셀러로 등록한 이상 매 달 39.99$을 꾸준히 내야한다. 기본적인 멤버십 FEE..
아마존 셀러가입을 하게되면 마지막에 하단과 같이 마켓플레이스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온다. 아마존은 미국 마켓이 가장 크고 유명하지만 유럽, 일본 마켓 또한 진입이 가능하다. 아마존 가입시 상기 화면에서 [일본, 유럽] 마켓 진출 여부 또한 선택할 수 있다. 나는 일본, 유럽 추가선택 시 월 멤버십 비용이 추가로 드는 것을 몰랐기에 '추후에 일본, 유럽 마켓에 진입할 수도 있으니 미리 체크해둬야지' 하는 마음으로 박스 3개를 전부 체크한 후 Next를 눌렀다 버튼을 누르고 5분뒤 갑자기 핸드폰 진동이 연속으로 3번 울렸고, 불길한 예감이 뇌리를 스쳤다. 폰으로 해외결제 승인 문자가 3통 와있었고 각각 미국, 일본, 유럽 마켓에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내용이었다. 아마존 월 계정 유지비가 3중으로 빠져나간 것이다..
아마존FBA라는 큰 기회를 잡기위한 첫 관문은 바로 회원가입이다. 아마존 셀러 등록은 여타 홈페이지의 회원가입처럼 간단하지 않다. 본인을 증명할 수 있는 여러가지 서류를 첨부해야하며 2~3일 간의 검수과정을 거친 뒤에야 비로소 회원가입을 완료할 수 있다. 서류심사 과정또한 까다로워서 모든 서류를 제대로 첨부했음에도 가입이 보류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최근 불법을 행하는 셀러들이 많아짐에 따라 아마존 측에서 보안 강도를 높여서 검토하고있는 실정이라고 한다 하지만 걱정할 이유는 없다 아마존 셀러가입도 정석대로만 한다면 무난하게 가입 가능하다! 그렇다면 준비 서류 먼저 알아보도록 하자 [아마존 셀러가입 시 준비해야 할 서류] 1. 사업자등록증(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님) 2. 이메일 3. 신용카드 4. 여권 5...
최근 왠지모를 불안감에 휩싸여 지내왔던 것 같다. 다른 사람들처럼 평범하게 출근을 하고 월급을 받고 정말 지극히 평범한 삶을 살고 있음에도 마음 한켠에는 불안감이 떨쳐지지 않았다. 그 불안감의 원인에 대해 깊게 고민해본 결과 직장을 다니고 있음에도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이라는 큰 족쇄가 내 발목을 잡고있다는 것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올해 30대에 접어들면서 이러한 불안감은 점점 커지고있는 것 같다 ㅠㅠ 그러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돈을 충분히 벌면 불안감이 사그러들지 않을까?' 회사에서 받는 월급으로는 부족하다는 생각을 했고, 월급 외에 부수입을 벌어보고싶다는 생각이 들어 무작정 유튜브를 뒤적뒤적 찾아보기 시작했다. 텐핑, 수익형블로그, 등 개인이 수익을 낼 수 있는 모델을 수없이 많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