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아마존재고관리
- 아마존FBA도전기
- 아마존FBA꿀팁
- 스마트스토어
- 부가세신고혼자하기
- 아마존FBA수수료
- 아마존FBA도전
- 아마존FBA
- 아마존노출
- 아마존포스팅
- 아마존완판
- 아마존포스트
- 아마존PPC
- 아마존FBA사업
- 아마존셀러
- 아마존상위노출
- 아마존컨텐츠
- 아마존초보셀러
- 세금신고혼자하기
- 아마존바코드면제
- 아마존리뷰
- 아마존첫판매
- 아마존무료광고
- 홈택스세금신고
- 아마존셀링
- 아마존도전기
- 아마존랭킹
- 아마존PPC광고
- 아마존광고
- 아마존광고비
- Today
- Total
밍국
#3. 아마존FBA_수수료를 파헤쳐보자 본문
사업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중 하나가 바로 마진 계산이다.
아마존 FBA사업은 아마존이 창고 대여부터 배송까지 모든 부분을 책임지기 때문에
그만큼 수수료 또한 비싼 비즈니스이다. 해서 만약에 FBA 수수료를 제대로 알아보지 않고
물건을 소싱한다면 팔면 팔수록 손해를 보는 사업 구조가 될 수도 있다.
때문에 아마존FBA 사업에서는 수수료를 정확히 짚고 넘어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아마존FBA의 수수료 구조는 크게 하기와 같다, 하기 수수료 외에도 여러가지 수수료가 있지만
셀러들이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수수료는 하기 6개 선에서 대부분 정리 된다고 한다!
1. 고정비 : 39.99$ (매 달 지불)
- 프로페셔널 셀러로 등록한 이상 매 달 39.99$을 꾸준히 내야한다.
기본적인 멤버십 FEE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2. 월 재고보관 수수료 : 입방피트 단위로 부과
- 내 제품이 아마존 창고 내에서 얼마만큼의 부피를 차지하고있는가에 따라 수수료가 차등 부과된다.
- 표준크기 제품의 경우 입방피트 당 0.69$ / 초과크기 제품의 경우 입방피트 당 0.48$ 부과
- 단 10~12월 3개월 동안은 아마존 성수기이기 때문에 재고보관 수수료가 3배 가량 상승한다.
- 상기와 같이 재고보관 수수료도 만만치 않기 때문에 제품을 창고로 보낼때 물량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3. 장기 보관 수수료 : 입방피트 단위로 부과
- 1년 이상 안팔리고 쟁여져있는 재고에 대해 추가 재고 수수료를 부과한다.
- 입방피트 당 6.9$로 상당히 큰 비용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1년 이상 팔리지 않는 재고의 경우 떨이
처리를 해서 처분하던가 그래도 안팔릴 경우 아마존 창고측에 폐기를 요청하는 방법이 있다고 한다.
- 장기 보관 수수료는 절대 물지 않도록 노력해야겠다..
4. FBA 폐기 및 제거 수수료 : 제품 단위로 부과
- 제품이 팔리지 않아서 불가피하게 폐기해야 하는 경우 제품 한 개 당 0.15$의 수수료를지불해야 한다.
- 내 돈 들여 만든 제품을 폐기하는데 또 돈을 써야된다는게 너무 잔인하다.. ㅠㅠ
5. 판매 수수료 : [제품 판매가 + 배송비]의 15% 부과
- 제품 카테고리 별로 8% ~ 20% 까지 판매수수료가 다양하게 적용되나
일반적으로 15%라고 알고있으면 되겠다
6. 주문처리 수수료 : 아이템 크기와 무게를 기준으로 부과
- 크기와 무게가 클수록 주문처리 수수료도 높아진다. 수수료는 하기와 같다
7. 라벨 수수료 : 제품 라벨 부착 수수료
- 상품단위로 0.2$씩 부과
- 아마존 창고에서 직원들이 내 제품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FNSKU라는 아마존 전용 바코드
번호가 필요하다. 이는 추후 제품 등록시 발급받을 수 있는데 보통은 제조공장에서 아마존 창고로
보내기 전에 공장 측에 요청하여 라벨을 부착시킨다. 공장에서 무료로 라벨 부착을 끝낸 후
아마존 창고로 보내는 것이 국룰이라고 하니 꼭 명심하자!
정리하고나니 수수료가 어마무시하게 많다는게 다시 한 번 체감된다..
위 수수료를 다 지불하고 내 마진 챙기려면 도대체 제품을 얼마나 비싸게 팔아야 하는건가 하는 생각도 들고
제품을 런칭하고 나면 초기에는 광고도 돌려야 하고 아마존 특성상 반품 또한 많다고 하는데
이것 저것 떼고 나면 남는게 과연 있을지 모르겠다 ^^;
여러모로 생각이 많아지는 새벽이다
수수료, 광고비 다 떼고 수익을 가져가려면 최대한 싼 가격에 소싱을 성공해야 하겠다.
이제 본격적으로 아마존에 팔 제품 선정에 들어가려 한다
다음 포스팅은 제품 선정 관련 내용으로 작성하겠다!
'아마존FBA살아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아마존FBA_알리바바를 통해 제품 소싱하기 (0) | 2020.07.12 |
---|---|
#4. 아마존FBA _제품선정 완료! 제품 선정 꿀팁 공유. (0) | 2020.07.09 |
#2. 아마존FBA_의도치 않게 아마존 일본, 유럽 계정까지 결제가 되어버렸다 (0) | 2020.07.08 |
#1. 아마존FBA_셀러 가입을 위한 준비물을 알아보자 (2) | 2020.07.07 |
아무 것도 모르는 초보셀러 아마존 FBA 사업에 뛰어들다 (0) | 2020.07.06 |